경기도, 1회용컵 이어 배달음식 일회용기도 청사 내 전면 퇴출

- 13일부터 청사 내 배달음식 다회용기 사용 운영
- 지난 4월 1회용컵 반입 금지에 이어 배달음식 일회용기도 퇴출
- 소상공인에 다회용기 대여·수거·세척·재공급 비용 지원하는 수원시와 협업
- 연말까지 시범운영 후 내년 1월부터 배달음식 다회용기 사용 의무화

가 -가 +sns공유 더보기

김혜령 기자
기사입력 2023-11-12 [11:49]

▲ 변화의 중심 경기도가 청사 내 1회용컵 반입 금지에 이어 오는 13일부터 배달음식 일회용기도 전면 퇴출하고 1회용품 사용 줄이기에 적극 나섰다   © 경기도

 

[IMB통신 김혜령 기자]  경기 RE100 플랫폼 구축을 비롯해 청사 내 1회용컵 쓰지 않기, 친환경차 통행료 50% 할인 등 친환경 정책을 통해 탄소중립을 실천하고 기후위기 대응에 적극 앞정서고 있는 경기도가 오는 13일부터 청사에 반입되는 배달음식에 대한 다회용기 사용을 추진한다.

 

경기도는 올해 4월부터 청사 내 1회용컵 반입 금지에 이어 이번 배달음식 다회용기 사용으로 청사 내 일회용기는 사실상 모두 퇴출하는 결정을 내렸다.

 

이에 따라 광교 경기도청사에서 근무하는 직원이 배달음식을 주문할 경우, 다회용기 포장을 요청해야 하고, 식사 후 청사 내에 설치된 수거함에 용기를 반납하고 앱을 통해 수거를 요청하면 된다.

 

이번 사업은 지난 9월부터 광교·인계 지역의 음식점을 대상으로 다회용기 사용 지원사업을 펼치고 있는 수원시와 협업해 진행된다.

 

경기도는 지난해 12월 ‘1회용 플라스틱 제로’ 선포에 이어 31개 시군 1회용 플라스틱 제로 공동선언 등 1회용품 사용 줄이기 정책을 꾸준히 실천하고 있다.

 

특히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취임 후 ‘기후도지사’로 나서, 국내는 물론 외국과의 교류협력에서도 기후위기 대응을 적극 강조하고 “기후변화 대응에 있어 중앙정부나 다른 지방정부, 해외에서도 경기도를 따라오게끔 할 수 있는 좋은 모델을 만들어보겠다”며 기후정책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한편 경기도는 앞서 지난 5월 ‘기후정책 및 RE100’과 관련해 도민 여론조사를 실시한 바 있다. 여론조사에 따르면, 경기도 및 산하 공공기관의 일회용품 줄이기 캠페인이 일회용품 없는 생활문화 확산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질문에 응답자는 84.1%로, 도민 대다수가 경기도 일회용품 줄이기 캠페인 효과를 긍정적으로 보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정부가 일회용 종이컵과 플라스틱 빨대 사용을 규제하는 정책을 사실상 철회한 가운데 경기도의 이번 결정은 탄소중립과 기후위기 대응에 대한 강력한 의지의 표명이라 할 수 있다.

 

경기도는 오는 연말까지 시범운영을 통해 소상공인 애로사항 등 현장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개선해, 내년 1월부터 청사 내에 배달되는 음식물에 대한 다회용기 사용을 전면 시행할 계획이다.

 

차성수 경기도 기후환경에너지국장은 “탄소중립 실현 기반 구축을 위해 1회용품 사용 줄이기 정책을 경기도가 나서서 지속적으로 발굴하고 앞장서 실천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일회용품줄이기 #탄소중립 #기후위기 #플라스틱제로 #RE100 #종이컵 #다회용기 #플라스틱빨대 #배달음식 #소상공인 #경기도 #친환경

 

김혜령 기자의 다른기사보기
댓글

i

댓글 수정 및 삭제는 PC버전에서만 가능합니다.

최신기사

URL 복사
x

PC버전 맨위로 갱신

Copyright IMB통신. All rights reserved.